Categories
Book Review

가사, 돌봄노동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는 반려자인 메리 번즈Mary Burns의 사망 후, 메리의 여동생 리디아와 살았다. 리디아마저 죽은 후에는 마르크스 집안의 하녀였던 헬렌 데무스Helene Demuth가 엥겔스를 돌보았다. 헬렌 데무스가 죽은 후에는 독일사회민주당의 지도자들이 엥겔스를 돌보는 사람으로 루이제 카우츠키Luise Kautsky를 지정했다. 마르크스의 딸인 엘리노어 마르크스Eleanor Marx는 당시 이에 분개했다.

이라영, <<정치적인 식탁>>, <혼자 못 사는 남자들>

이 대목을 읽고 자크 아탈리의 마르크스 평전이 생각나서 뒤적여 봤다.

11월 18일, 헬레나 데무트가 암으로 죽는다. 마르크스와 예니가 바랐던 대로 그녀도 하이게이트 묘지에 있는 마르크스일가의 무덤 안에서 마르크스부부와 어린 해리 곁에 매장되었다. 나흘 뒤 엥겔스는 차티스트주의자들의 오랜신문에다 그녀에 관해 쓴다.

“마르크스가 죽은 이후에도 내가 일을 계속할 수 있었던 것은 대부분 집에 있는 그녀의 존재가 가져다 준 햇빛과 후원 덕분이었다.”

자크 아탈리, <<마르크스 평전>>, p.644.

헬레나 데무트는 예니의 하녀였을 뿐 아니라 마르크스의 원고들을 정리하는 일도 도왔다.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헬레나는 마르크스의 아들을 낳기도 했다. 정확히 서술하자면, 예니가 장기간 집을 비웠을 때 덜컥 임신하고 결국 아들을 낳았지만 누구의 아들인지는 끝까지 털어놓지 않았다. 정황상 마르크스의 아들임이 분명한데 난처해진 친구를 끔찍히도 생각하는 엥겔스가 끝까지 자신의 아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그런 뻔한 거짓말에 속을 사람이 아니었으나 예니도 끝내는 마르크스를 용서했던 것 같다. 마르크스 가족과 엥겔스는 헬레나를 단순한 하녀가 아닌 진정한 가족으로 여겼고 마르크스 사후 엥겔스의 집으로 옮겨간 것도 경제적인 이유와 더불어 마르크스의 방대한 유고를 정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엥겔스는 헬레나의 죽음을 진정으로 슬퍼했던 것 같다.

F. 레스너라는 한 증인은 같은 사실을 다르게 소개한다.

“헬레나 데무트를 잃게 된 것이 엥겔스로서는 아주 고통스러웠다. 다행히도 얼마 안 가서 루이제 카우츠키, 오늘날에는 프라이베르거 부인이 된 그녀가 빈을 떠나 런던으로 와서 앵겔스의 집을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책, p.645.

루이제 카우츠키가 엥겔스의 집으로 들어가게 된 배경도 사실 그리 단순하지는 않다. 독일 사회민주당 내의 정치투쟁과 관련되어 있다. 당시 마르크스를 비판하던 베른슈타인이 선점하기 전에 자신의 세력을 보내고 싶었던 베벨과 리프크네히트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였다. 마르크스의 딸 엘레아노르는 루이제 카우츠키와 그녀의 새 남편 프라이베르거가 아버지의 지적 유산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상황을 걱정했던 것 같다.

프라이베르거 부부는 엥겔스의 집 일부를 차지하고, 그 집에다 자기네 이름까지 갖다 붙이고, 전에 카우츠키 부부가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로 엥겔스를 자기네 지배 아래에 붙잡아두고 있는 듯했다. 엘레아노르는 자기 언니에게 이런 상황에 대해 터놓고 얘기했다.

같은 책, p.651.

이렇게 써놓고 보니 이라영 선생님이 제기한 문제를 흐리는 서술이 되어버렸다. 당시 상황을 조금 더 상세히 바라보고 싶었다. 분명히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당시 대부분의 남성들이 그러했듯이 가사노동을 여성의 일로 여겼고 평생 여성들의 돌봄에 의지하며 살았다. 급진적인 지식인의 대명사 같은 존재들도 일상 속에서는 가부장제가 정한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다. 화담 서경석의 일화는 더 직설적이다. 허균의 아버지인 허엽이 스승이었던 서경석의 별장에 찾아가 하인을 시켜 밥을 짓게 하려다 보니 솥 안에 이끼가 가득해서 까닭을 물었고, 서경석이 이렇게 대답했다는 것이다. “물이 막혀서 엿새를 집사람이 오지 못했기 때문에 내가 오랜 동안 식사를 못하였다. 그러니 분명 솥에 이끼가 끼었을 것이다.” 아내가 없으면 밥을 굶고 이를 당연하고도 위풍당당한 모습으로 바라보았던 시절, 참으로 미개했던 시절이다, 라고 끝내면 좋겠지만 슬프게도 오늘날과 무관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밥 타령을 한다. 집밥의 가치에 대해 지겹도록 말하다가 이제는 홀로 밥 먹는 남성에 대한 연민으로 어쩔 줄 몰라 한다. 혼자 밥 잘 해먹는 남자들도 많은데, 이런 남자들은 보편적이지 않은 사례라며 밀어내려 한다. ‘남성연대’는 주방에 자주 들락거리는 ‘같은 남자’들을 싫어한다. 가부장제는 여성들이 하던 성 역할에 참여하는 남성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런 남자들이 많아질수록 성 역할이 깨지기 때문이다.

이라영, 같은 책.

지식은 확실히 세상을 바라보는 감각의 해상도를 높힌다. 흐릿한 실루엣으로 보이던 부분을 더 선명히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계기들이 있다.

Categories
Book Quote

범죄의 정의

페르 발뢰와 나는 ‘마르틴 베크’ 시리즈로 스웨덴 사회가 십 년에 걸쳐서 변해가는 모습을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말하자면 스웨덴 사회를 해부하려 했습니다. 우리는 좌파의 시각에서 사회를 묘사하고 싶었습니다. 우리는 처음에 시리즈의 부제를 ‘범죄 이야기’라고 붙였는데, 여기에서 범죄란 말을 사회가 노동계급을 버렸다는 뜻으로 사용했죠.

마이 셰발, <<로재나>>, 한국어판 서문

박찬욱의 영화 <헤어질 결심>에서 소품으로 잠깐 등장하는 것을 눈여겨 보고 바로 구입한 국내판 마르틴 베크 시리즈의 첫 편을 펼치니 이런 근사한 서문이 반긴다.

Categories
Book Science

동반자, 잡초

하지만 잡초들에겐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행동 양식이 있다. 그들은 인간과 함께 번성한다는 것이다. 잡초는 기생식물이 아니다. 그들은 인간이 없어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이 우리 곁에서 유독 번성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자연계에서 그들의 생태적 협력자다. 잡초는 우리가 땅에서 하는 일을 좋아한다. 숲을 청소하고, 땅을 파고, 농사를 짓고, 영양분이 풍부한 쓰레기를 버리는 것 말이다.

<< 처음 읽는 식물의 세계사>>, 리처드 메이비. 29p.
Categories
Art Book

NFT 아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의 자매지로 창간된 <크리티크M>를 들추니 이른바 NFT 아트에 관한 칼럼이 눈길을 끈다. NFT 어쩌고 하는 수 많은 비전들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는 차에 호크니가 NFT 아트 투자에 앞장 선 사람들을 “국제적인 사기꾼”이라고 단정짓는 대목을 만나니 반갑기도 했다. 그러니까, 여러 장의 사진을 짜깁기한 300메가바이트의 JPG 파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서 수백억 원에 팔았다는 건데 아무리 좋게 보려고 해도 위화감이 사라지지 않는다.

Everydays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Beeple

NFT 아트가 그저 이미지 파일이 아니라 예술작품으로 평가받으려면 오프라인 공간과 확연히 변별되는 의미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한다.

단순히 오프라인 세계를 모방하는 시뮬라크르(Simulacre)에 그치지 않고, 그 자체로 의미와 진실을 추구함으로써 이전에 없던 세계를 창조해야 한다. 물론 그에 따르는 디지털 문해력, 틈새에서 발견될 또 다른 불평등도 대비해야 할 테다.

<<크리티크M>> 창간호, <비대면 시대>, 예술의 새로운 시도, 김지연, 25p.

코인의 거래시장은 현실 주식시장의 퇴폐적 측면을 일차적으로 모방하는 시뮬라크르인 것 같다. 최근 발생한 루나-테라 코인 사태는 그 모방된 욕망의 파국을 암시하는 게 아닐까. 그리고 해당 글과 멀리 떨어진 다른 글에서 어떤 통찰을 얻은 기분이 드는 건 착각일까.

오늘날 영화 예술은 조직적으로 평가 절하되고, 소외되고, 비하되면서 ‘콘텐츠’라는 최소한의 공통분모로 축소되고 있다. 15년 전만 해도 ‘콘텐츠’는 영화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나눌 때나 들을 수 있는 단어였으며, ‘형식’과 대비되고 비교되는 의미로만 쓰였다. 그런데 그 뒤로 예술형식의 역사에 대해 전혀 모르고, 심지어 알려고 하지도 않는 이들이 미디어 회사를 인수하면서 점차 ‘콘텐츠’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했다.

<<크리크M>> 창간호, <펠리니와 함께 시네마의 마법이 사라지다>, 마틴 스코세이지, 177p.

Categories
Art Book

인상

“Tempête de Neige” exposé en 1842 de J.W. Turner Snow Storm – Steam-Boat off a Harbour’s Mouth making Signals in Shallow Water, and going by the Lead

그러나 어느 누구도 터너의 그림을 보고 19세기의 증기선을 다시 만들어낼 수는 없을 것이다. 그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시커먼 선체(船體)와 돛대에서 펄럭이는 깃발, 사나운 바다의 위협적인 돌풍과 대결하는 투쟁의 인상 뿐이다. 마치 휘몰아치는 바람과 파도의 충격을 몸으로 느낄 수 있을 것만 같다. 세세한 부분은 살펴볼 겨를이 없다. 그런 부분들은 눈부신 빛과 폭풍의 어두운 그림자에 의해 삼켜져버렸다.

E. H.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494p. (16차 개정증보판)
Categories
Book

여우 한 쌍

여우 한 쌍이 눈밭을 헤집네,
신방 차린 토굴가를 쿵쿵 밟으며,
밤이면 그 억센 사랑이 주위에
타는 목마름을 핏자국처럼 뿌리네.

디디에 에리봉, 『미셸 푸코, 1926~1984』, 그린비, 109p.

이 시의 제목은 원래 「웅덩이에 고인 희미한 빛」이며 미셸 푸코가 죽기 나흘 전인 1984년 6월 21일에 르네 샤르가 썼다고 한다. 샤르는 푸코의 죽음을 슬퍼하는 폴 벤느에게 이 시를 선물한다. 벤느는 “그때 우리들은 푸코를 ‘푹스'(여우)라고 불렀죠”라며 감동했다고 한다. 시는 푸코의 장례식에서 낭송된다.

푸코는 르네 샤르의 시를 애정했고 여러 저작에 그 흔적을 남겼지만 현실에서는 아무런 교류를 맺지 못했다고 한다. 샤르 역시 푸코를 매우 존경했다고 한다.

벌써 형성되기 시작한 전설과는 달리 샤르와 푸코 사이에는 이처럼 사후의 묘한 인연밖에는 없다. “그 전설이 사실이라면 재미있겠지만 그러나 사실을 사실대로 말하는 것이 좀더 정직한 일이 될 것이다”라고 폴 벤느는 르네 샤르에 관한 글 속에서 말했다.

같은 책. 109p.

서로를 가슴 깊이 존경했으면서도 직접 만나지는 못했던 위대한 두 지성 이야기가 몹시도 매혹적이다. 철학자는 자신의 저작에 시인의 싯구를 새겨넣었고 시인은 철학자의 무덤에 시를 바친다. 눈밭에 타는 목마름을 핏자국처럼 뿌리는 억센 사랑…

Categories
Book ETC Quote

오랜 좌절

브렉시트 캠페인을 결정지은 주장은 복잡하지 않았다. 캠페인의 집중 공략 사항을 담은 주요 공약은 단순하고 명쾌했다. 몇 주 동안 버스 옆면을 도배한 그 주장은 바로 이것이었다. “우리는 EU에 매주 3억 5000만 파운드를 보낸다. 이 돈으로 국민 의료보험(NHS)을 지원하자.”

제임스 볼,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215p.

매주 NHS에 3억 5000만 파운드를 지원하겠다는 주장은 근본적으로 정치적 개소리였다. 어느 정치인이나 정당도 이 주장을 제대로 책임지지 않았고, 투표로 심판하지도 못했다. 이 수치를 쓴다고 질책하는 공식적인 규제기관이나 중재기관도 없었고, 세부적으로 따지다 보면 탈퇴 캠페인이 쓰는 수에 휘말리기 일쑤였다. 도발적인 주장을 던지는 전략은 캠페인 내내 이어졌다.

같은 책, 220p.

투표 전 마지막 주에 여론조사 기관 입소스모리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탈퇴진영의 주장이 몇 주에 걸쳐 그 신뢰성을 의심받았음에도 응답자의 78퍼센트가 매주 3억 5000만 파운드씩 EU에 보낸다는 탈퇴캠프의 주장을 들은 적이 있고 47퍼센트는 이 주장을 사실로 믿는다고 답했다. 또한 45퍼센트는 터키가 곧 EU에 가입한다고 믿었다.

같은 책, 230p.

정치에 큰 관심이 없고 참여하지도 않는 사람을 다소 모욕적이지만 ‘정보 수준이 낮은 유권자’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 집단이 어떤 메시지에 반응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캐머런 전 총리의 미디어 담당이었고 BBC 방송 중역이었던 크레이그 올리버는 이 집단과 관련한 정서는 오랜 좌절이라고 보았다.

같은 책, 231~232p.
Categories
Book Review

Geek, Tarrot

기예르모 델 토로의 팬이자 호러필름 덕후로서, 새로 나온 영화 <Nightmare Alley>를 보기 전에 원작을 먼저 읽어 보기로 마음 먹었다. 구글플레이에서 이북으로 구입했다.1 구글에서 구입하면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브라우저에서 바로 읽을 수 있어서 좋다. 파이어폭스에서도 문제없이 동작한다.

번역본 표지 (그림: 이윤미, 디자인: 이승욱)

윌리엄 린지 그레셤의 책은 처음 접한다. 예상대로 술술 읽혔다. 중간에 두어 번 끊고 반나절 만에 끝을 봤으니. 책의 서문은 동료 하드보일드 작가였던 닉 토시즈가 썼는데, 소개글들이 종종 그러하듯이 작품의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누설하고 있을까봐 과감하게 건너 뛰고 진행했다.

본편은 교묘하게 순서를 섞어놓은 스물두 장의 메이저 아르카나, 그러니까 타로카드를 소제목으로 쓰고 있다. 각 챕터가 한 장의 타로카드인 셈이다. 첫 번째 카드인 바보(The Fool)에서 시작해서 마술사, 여사제, 세계 등등을 거치고 마지막 스물두 번째에는 매달린 남자(The Hanged Man)로 끝난다.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오컬트에 대한 작가의 관심도 읽을 수 있지만 역시 타로카드가 가장 중요한 상징으로 등장한다. 각 카드에 담긴 오컬트적 의미 및 해석을 잘 알고 있다면 더 풍부하게 읽어나갈 수 있을 것 같다. 잘 모르더라도 모든 챕터는 카드 도상과 이름, 간략한 핵심 정보를 던져주고 시작하므로 내용을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첫 챕터의 도입부

22장의 메이저 아르카나와 소제목을 자세히 비교해 보면 미묘하게 다른 두 개의 제목이 눈에 띈다. 여섯 번째 소제목은 사자의 부활(Resurrection of the Dead)인데 대응하는 타로카드는 심판(Judgement)이다. 기독교의 종말론에 의하면 죽은 자들이 다시 부활하여 마지막 심판을 받으므로 크게 이상한 변형은 아니다. 열여덟 번째 소제목은 시간(Time)이고 타로카드는 절제(Temperance)이다. 이건 연결이 잘 안 된다. 네러티브를 위해 다소 무리하게 변형시킨 게 아닌가 의심된다.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챕터, <바보>는 주인공 스탠 칼라일이 카니발 프릭쇼의 한 부스에서 뱀과 함께 지내며 닭의 목을 물어뜯는 기인(geek)을 관찰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여기서 <바보>는 기인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스탠 칼라일이기도 하다. 소설을 끝까지 진행하다 보면 확신하게 된다. 타로카드 <바보>는 히브리 문자 알레프(א)와 대응한다. 뜬금없이 떠오른 사실이지만, 보르헤스는 자신의 단편에서 지구상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공간 속의 한 지점을 알레프로 칭한 바 있다.2물론 이 둘 사이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 건 아니다. 그저 우연일 것이다. 바보 카드에 내러티브 전체가 응축되어 있다. “알록달록한 광대 옷차림으로 세상 끝 낭떠러지 위에서 눈을 감고 걷는 자”로 정의되어 있는 <바보>란 긱쇼의 알콜중독자이기도 하고 그를 혐오하는 주인공이기도 하며, 소설 밖의 작가 자신이기도 하다.

기인이라는 우리말 번역이 적절한 지 잘 모르겠다. 닉 토시즈의 서문에는 영단어 geek 과 관련해 꽤 재미있는 사연이 소개되고 있다.

카니발 업계에서 살아 있는 닭이나 뱀의 머리를 물어뜯는 야생 인간을 뜻하는 ‘geek(바보, 얼간이, 잘 속는 사람을 뜻하는 ‘geck’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적어도 16세기 초반부터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이라는 단어는 그레셤이 <나이트메어 앨리>에서 소개하기 전에는 일반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1947년 11월 당시 인기를 끌었던 냇 ‘킹’ 콜 트리오는 <The Geek>이라는 음반을 출반했다.

닉 토시즈의 서문

Nerd, 덕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오늘날의 용법으로 자리잡기까지 꽤나 우여곡절을 겪어 왔을 이 단어의 운명을 저 당시의 그레셤이 짐작이나 했을까.

몇 년 전 심심풀이로 타로점을 봐주곤 하던 직장동료분이 타로점의 가치에 대해서 평했다. 타로패가 미래를 예언하거나 거기에 어떤 초현실적인 힘이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어떤 선택지를 취해도 상관없을 소소한 선택의 기로에서 간단히 마음 정하기 힘들 때 동전이나 주사위 보다는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무작위한 방향을 가리키면서도 독특하고 상징적인 방식으로 의미와 동기를 부여한다. 꽤 재미있는 설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