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Daylog ETC

어린 왕자

기억 속 첫 크리스마스 선물은 내가 일곱 살이던 해, 셍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였다. 학교 교육조차 충분히 받지 못했던 우리 집 산타할아버지의 눈엔, 아마도 표지도 예쁘고 삽화도 있는 그 책이 일곱 살 꼬맹이에게 딱 맞아 보였을 것이다. 나는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까지 보고 금세 책을 덮어버렸다. 그렇게 책은 시간이 지나 몇 번의 이사를 거치며 사라졌다. 이후 산타할아버지는 몇 해에 한 번씩 띄엄띄엄 선물을 주셨는데, 그건 아마 내가 종종 나쁜 아이였기 때문일 것이다.

고등학생이 되던 해, 은밀히 ‘우정’의 편지를 주고받던 교회 여사친이 여우 이야기를 인용한 일이 있었다. 어릴 적 받았던 첫 크리스마스 선물이 문득 떠올랐다. 도서관으로 달려가 책을 다시 꺼내 읽었다. 당시의 나는 그런 철학적인 동화에 큰 흥미를 느끼지 않았고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편지에 인용하기 좋은 구절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억지로 읽었던 것 같다. 그때 선물할 책은 반드시 내가 먼저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을 것이다.

선물 고르는 센스가 부족하고, 고집이 세며 권위적이고, 일하지 않을 때는 늘 술에 취해 있었지만, 자식들에게만큼은 언제나 따뜻했던 우리 집 산타할아버지는 이제 뇌졸중으로 몸이 불편해지셨다. 얼마 전 찾아뵈었을 때, 크리스마스 선물 이야기를 꺼내 보았는데 전혀 기억하지 못했다. 하긴 그깟 크리스마스가 뭐라고 아직 기억하겠는가. 2회차 산타란 없다. 누구나 산타는 처음이고 이런저런 실수를 반복하다가 할만하면 은퇴하고 마는 것이다. 은퇴한 산타는 나무늘보처럼 외롭게 느릿느릿 살다가, 어린 왕자처럼 자기 별로 홀연히 떠나버릴 것이다. 그렇게 누구에게나 인생의 어느 순간, 산타 없는 크리스마스가 찾아오는 법이다.

어린 왕자의 삽화. 작품의 마지막 장, 사막에서 조용히 쓰러져 주저앉은 어린 왕자를 그린 그림이다. 하늘에서는 하나의 별, 아마도 그가 돌아가게 될 별이 빛을 내려 쬐고 있다. 어린 왕자 앞에는 한 떨기 꽃이 피어 있다.
Categories
Politics

리버럴, 단상

신자유주의 무대 위에서,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라는 레이블은 이미 그 빛을 잃었다. 카멀라 해리스가 유세 기간 내내 주머니 속 부적처럼 지니고 다닌, 전쟁범죄자 딕 체니의 망령이 강렬히 증언한다. 부르주아 ‘정치’란 이제 더 이상 실제가 아니다. 화면 속에서 팔려나가는 환상들로 대체된다. 에이전트, 홍보 담당자, 마케팅 전문가, 프로모터, 대본 작가, 텔레비전과 영화 제작자들, 비디오 기술자, 컴퓨터 그래픽 아티스트, 사진가, 경호원, 의상 컨설턴트, 피트니스 트레이너, 여론 조사원, 방송 진행자, 텔레비전 뉴스의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연기같은 환영이다.

화려한 조명 너머 현실은 기만적인 정적 속에 파묻혀 있다. 부는 공정하게 나누어지지 않는다. 탐욕스러운 과두제 엘리트들이 모든 부를 움켜쥐고, 노동계급의 다수는 조합과 권리를 박탈당한 채 만성적인 빈곤과 불완전 고용의 늪 속으로 떠밀린다. 누군가 말했듯, 그들의 삶은 “끝이 보이지 않는, 스트레스로 가득 찬 비상사태” 그 자체다. 절망은 희망이 사라진 자리에 남겨진 공백이다. 공동체가 해체되고 고립이 일상이 된 세계에서, 사람들은 끓어오르는 마그마처럼 출구를 찾아 헤맨다. 그들에게 미래는 두려움의 그림자이며, 빈곤은 타오르는 고통이다.

자욱한 연기와 환영을 뚫고 나타나 기적과 묵시적 구원을 약속하는 자들이 잠깐 권력을 움켜쥐지만, 그들 역시 하나의 ‘증상’에 불과하다.

뱀이 자신의 꼬리를 삼킨다. 하지만, 그게 언제까지 가능하겠는가?

Categories
Film

Yo ho ho (1981)

자코 헤스키야(Зако Хеския) 감독의 1981년 작품 <Yo ho ho(Йо-хо-хо)>가 유튜브에 올라와 있다. 이 영화는 20년 후 인디아 출신의 감독 타셈 싱의 눈부시게 아름다운 연출로 리메이크되었다. <The Fall (2006)>. 언제 내려갈지 모르겠으나 일단 갈무리해 둔다.

Categories
Politics Press Quote

跳梁跋扈

‘도량’은 ‘거리낌 없이 함부로 날뛰어 다님’이라는 뜻으로 ‘한서’, ‘장자’ 등에 쓰였고, ‘후한서’에 등장하는 ‘발호’는 권력을 남용해 전횡을 일삼는 장군을 비판할 때 쓰였다. 도량발호는 이 둘을 합친 말이다.1<교수들 선정 올해의 사자성어 ‘도량발호’…“권력이 함부로 날뛴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171908.html

후보였던 사자성어도 재미있는데, 석서위려(碩鼠危旅) ➡️ 머리가 크고 유식한 척하는 쥐 한 마리가 국가를 어지럽힌다는 의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건에 분노한 시민들의 촛불이 타오르고 국회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던 2016년 ‘올해의 사자성어’는 ‘군주민수’(君舟民水)였다. ‘강물(백성)이 화가 나면 배(임금)를 뒤집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듬해 2017년에는 박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새 정부가 적폐청산에 나섰다는 점을 들어, ‘사악한 것을 부수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는 뜻의 ‘파사현정’(破邪顯正)이 선정됐다.2같은 글

footnote
Categories
Politics Press Quote

볼프강 슈트릭

2024년 11월 28일 뉴욕타임즈에 올라온 크리스토퍼 콜드웰의 에세이 <This Maverick Thinker Is the Karl Marx of Our Time>는 뉴레프트저널에 기고한 에세이들로 유명한 독일의 사회경제학자 볼프강 슈트릭를 매우 상세히 소개한다.

슈트릭은 신자유주의 기획에 내포된 역설에 대해 명확한 통찰을 제시한다. 글로벌 경제가 “자유롭기” 위해서는 오히려 제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 옹호자들이 말하는 자유 시장이란 규제가 완화된 시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탈규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은 보기보다 훨씬 복잡하다. 자유로운 사회에서 규제란 인민들이 자율적으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는 주권적 권리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세계의 사회가 민주적일수록 그 사회의 특성이 독특해지며, 경제적 규칙들이 서로 달라질 가능성이 커진다. 하지만 기업들은 적어도 글로벌화 측면에서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 자본과 상품은 국경을 넘어 마찰 없이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관된 법체계가 필요하다. 결국 민주주의는 일정 부분 양보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민주주의와 글로벌 자본주의가 일으키는 모순은 제국주의의 횡포로 이어지게 되는데, 제국 수준에서 일어나는 일이 글로벌화 규칙을 만드는 미국과 서유럽 사회 내의 지역 수준에서도 발생한다. 민주주의와 대립하는 경제 정책들이 수립되고 불공정한 결과를 만들어 낸다.

“글로벌 경제”는 일반 대중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공간이다. 슈트릭은 1970년대 이후 좌파 정당들이 이러한 문제를 간과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산업 노동자를 중심으로 노동자 권리와 생활 수준을 주된 관심사로 삼았던 기존의 구조에 인권과 ‘깨어있는 정신'(wokeism)이라는 원칙 집합과 같은 가치 체계를 홍보하는 데 관심을 둔 지식인들이 침투하여 전복시키는 것을 허용했다.

슈트릭은 민주주의를 옹호한다고 주장하는 엘리트들에 의해 민주주의가 저지되고 있기 때문에 위기에 처했지만 일반 대중 사이에서는 민주주의가 활발히 살아 있다고 본다. 지난 20년 동안 적어도 진정한 대중의 정서를 반영하는 후보를 내세우는 정당의 경우 투표 참여율이 가파르고 꾸준히 상승했음을 지적한다.

좌파는 포퓰리즘을 받아들여야 한다. 포퓰리즘은 단지 글로벌리즘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투쟁에 붙여진 이름일 뿐이다. 글러벌리즘이 스스로의 모순에 의해 붕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 모든 진지한 정치적 움직임은 어떤 형태로든 포퓰리즘적일 수밖에 없다.

Categories
Book Quote

창조의 정신분석

에릭 프랭크 러셀의 짧은 단편 <The Sole Solution>을 슬라보예 지젝이 인용하길래 찾아봤다.

https://archive.org/details/Fantastic_Universe_v05n03_1956-04/page/n109/mode/2up

그는 어둠 속에서 곱씹었다. 그 외에는 아무도 없었다. 어떤 목소리도, 속삭임도, 손길도 없었다. 다른 존재의 온기도 없었다. 어둠. 고독. 온통 검고 고요하며 아무것도 섞이지 않는 데서 오는 영원한 얽매임. 사전 정죄 없는 감금. 죄 없는 형벌. 벗어날 방법을 찾아내지 않는 한 견뎌야만 하는 견딜 수 없음. 바깥에서 오는 구출의 희망이란 없다. 다른 영혼, 다른 마음에 슬픔이나 연민, 동정이란 없다.

그리하여 그는 해법을 꿈꾼다.

가장 쉬운 탈출은 상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구속복에 갇힌 이는 자신만의 꿈나라를 모험하며 신체의 덫에서 탈출한다. 하지만 꿈으로는 충분치 않다. 꿈은 현실이 아니고 지나치게 짧기 때문이다. 얻어내야 할 자유는 진짜여야 하고 오래도록 지속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꿈에서 엄정한 현실, 영원히 지속될 만큼 치밀하게 만들어진 현실을 만들어야 했다.

모든 세부 사항을 계획하는 오랜 노력 끝에 실천할 때가 도래했다.

지금이 바로 그 순간이다. 실험을 시작해야 한다. 그는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어둠을 응시하며 말했다. “빛이 있으라.” 그러자 빛이 있었다.

Categories
ETC

벨마, 오즈

레딧에 올라온 매우 흥미로운 (Velma characters parallel wizard of oz).

벨마의 빨간 메리 제인
도로시 → 벨마의 빨간 메리 제인 한 켤레
여성성의 신화를 읽는 프레드
허수아비 → 여성성의 신화를 읽고 뇌를 얻는 프레드
스스로에게 헌신하기로 결단하는 노빌
사자 → 스스로에게 헌신하기로 결단함으로써 용기를 얻는 노빌
양철나무꾼: 대프니
양철나무꾼 → 벨마와 키스함으로써 사랑을 얻은 대프니
Categories
Press Quote

불로소득

불로소득이 고생하지 않고 공짜로 벌어서 문제인 것이 아니듯이, 고생해서 벌었다고 임금 노동이 정당한 것도 아니다. 임금 노동과 근로소득에만 집중하면 능력주의에 따른 소득 격차를 정당화하고,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노동 능력이 모자란다고 여겨지는 이들에 대한 차별로 이어질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에게는 불로소득이 필요하다. 사회의 공적 절차를 통한 복지 급여가, 꼭 현금 급여가 아니어도 주거, 교육, 의료 등을 보장하는 ‘사회임금’이 필요하다. 장애운동에서는 ‘개인이 지닌 현재의 조건 및 능력에 비춰 볼 때 그 활동이 사회 구성원의 물질적, 정서적, 정신적 삶에 기여하는가’를 기준으로 공공시민노동을 개념화하고 소득을 지급하자고 제안한다. 이렇게 보면 존재 자체, 다른 사람과 맺는 관계 자체가 노동이다. 노동과 소득을 사회적 관계에서 인식하고, 존재 자체의 가치를 인정하는 데서부터 불로소득을 극복하는 힘이 나올 것이다.

공현, <불로소득>
Categories
Daylog ETC

아바타, 추억

제임스 캐머런의 아바타를 당시 회사 근처 개봉관에서 보았던 기억이 망령처럼 떠올랐다. 2009년 12월, 추웠지만 두근거렸고 끝내 슬퍼졌던 그날 밤, 피곤한 남자에겐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없었다. 가까운 곳에 앉았지만, 푸른 거인들이 뛰어다니는 스크린은 너무나 멀어 보였다. 미래에서 온 나의 유령과 만나는 내 과거의 유령을 보았다. 시끄럽고 어지러운 환상들이 배회하는 공간에서 나는 혼자가 아니었다. 우리의 심장은 함께 뛰었고 시공간의 온도를 미세하게 높였다. 붙잡고 싶었고 뿌리치고 싶었다. 수수께끼 같은 인사를, 거짓말을 나누면서 우리는 판도라 행성을 떠났다. 우리가 잠시 그 자리에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끝을 향해 지나온 길을 무자비하게 짓밟았다. 보낼 수 없었던 답장은 어느 버려진 서버에 절절한 이진 코드로 남았다가 무신경한 다른 코드가 덮어썼을 것이다. 미안한 마음은 전할 길이 없다. 그래서 삶이 종종 아프고 외로운 것이다.

Categories
Quote

일괴암

나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모순은 서울 중심주의, 수도권 중심주의라고 생각한다. 주요 모순, 근본 모순이다. 계급, 젠더, 부동산, 교육, 정치, 의료 등 모든 문제가 여기서 나온다. 말할 것도 없이 보이는 권력, 보이지 않는 권력, 문화, 사람, 금융, 일자리 등 모든 자원이 서울에 있다. 집중이 아니다. ‘그냥 다 있다’. 이른바 진보 인사, 맑스주의자, 페미니스트들도 거의 서울에 산다.

정희진, 「일괴암一塊岩의 공포, 서울 이야기」, 『뉴 레디컬 리뷰』 제2권 제3호, p.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