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Politics

생물학적 여성

기표로 현실을 만들지 못하니 현실에 폭력을 가해 기표를 짜내려 한다. 생물학적인 여성만 여성으로 인정한다는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트랜스젠더를 배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여성혐오적이다. 라캉적 의미에서 여성은 지워져서가 아니라, 고정된 의미가 부여됨으로써 억압당하지 않던가. la femme n’existe pas(여자는 존재하지 않는다)1https://www.lacan.com/nonexist.htm 남근이라는 기표로 (힘, 리더십, 성공 따위의 마초적인 상징들로) 대표되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기표화되지 않은 타자로 남는다. 그래서 늘 여자에게는 특정한 기표를 덧씌움으로써 억압이 작동하는 것이다. 권위주의는 부정형의 성적 타자에 대한 불안을 견디지 못한다. 때문에 폭력적으로 이를 봉인하려 한다.

footnote
카테고리
ETC Politics

예언

요즘 뉴스를 훑다 보면 다른 건 몰라도 윤석열 당선인이 청와대라는 ‘공간’에 가진 강한 거부감만큼은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그 거부감은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는 모호한 아포리즘으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다. 때문에, 막연히 구전되며 유통되고 있는 가설, 그러니까 그가 어떤 무속인에게서 청와대와 관련한 불길한 신탁을 받았다는 소문을 그저 농담으로 흘려보내기 힘들어지는 것이다.

지젝은 라캉의 “진리는 오직 오인을 통해서만 나타난다”는 명제를 설명하면서 윌리암 텐의 SF소설과 서머싯 몸의 희곡 <쉐피>의 한 단락과 함께 오이디푸스 신화를 예로 든다.

다시 말해서 예언은 그것이 영향을 미치는 사람에게 전달되어 그가 그것을 피하려고 함으로써만 진리가 된다. 우리는 자신의 운명을 미리 알게 되고 그것을 피하려고 한다. 그런데 예정된 운명이 실현되는 것은 바로 그러한 도망침을 통해서다. 예언이 없었다면 어린 오이디푸스는 자기 부모와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잘 살았을 것이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란 것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109p.

뭔가 고전적인 비극이 하나 만들어질 것도 같고…

[추가] 재발견한 작년의 에피소드 하나: 유승민 측 “윤석열 대뜸 ‘정법 유튜브 보라’며 손가락질” (한경, 2021.10.06. 고은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