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Daylog

걷는 자

우리 동네에는 방황하는 노인이 있다. ‘방황하는 유대인’에서 따와 내 멋대로 붙인 별명이다. 새까맣게 그은 얼굴 때문에 더 선명하게 보이는 짧고 단정한 백발이 깃발처럼 눈길을 끈다. 깔끔하게 면도한 얼굴과 검소하지만 청결해 보이는 옷차림을 보면 분명 자기 관리를 하는 분이다. 그는 일 년 내내 하얀 고무신을 신고 도무지 읽어낼 수 없는 표정을 한 채 하루 종일 이곳저곳을 걷는다. 이곳에 이사 오고 나서 거의 매일 마주치게 되자 어느 날은 나도 모르게 목인사를 하고 말았는데, 뜻밖에도 큼직한 미소를 만들어 보이며 답례하셨다. 내가 어설프게 대화를 건네려고 하자, 예의 그 알 수 없는 표정으로 금세 돌아가서 방금 있었던 만남의 순간을 털어내듯 가던 길을 서둘렀다. 그렇게 몇 번 더 인사를 주고받은 다음에서야 비로소 그분이 지적장애가 있는 분이라는 걸 눈치챘다. 

이웃 할머니에게 넌지시 여쭤보았더니 ‘걸음병’이라고 했다. 노인은 걷지 않으면 안 되는 병을 안고 태어났기에 평생 근방의 산과 들을 밤낮 가리지 않고 걸어 다녔다는 것이다. 이곳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곳을 걷는 것도 봤다고 하셨다. 그렇게 하루 종일 걷는 자식을 애지중지 뒷바라지하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동생네 부부가 대신 돌봐주고 있기를 수십 년째라는 것이다. 할머니는 동생의 부인이 대단하다고 극찬했다. 혹 덩이 같은 시아주버니에게 매일 아침 깔끔한 옷을 내어주고 따스운 밥을 지어 먹이고 면도와 이발에 신경 쓰기를 지극정성으로 해냈다는 것이다. 그 제수씨라는 분의 고단했을 삶을 이리저리 상상해 보았다. 노인이 나이에 비해 건강해 보이는 데에는 매일 걷는 것도 도움이 되었겠지만, 뒤에서 묵묵히 돌봐주는 가족의 희생이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저 멀리 정처 없이 걷는 노인의 흰머리는 일상의 풍경이었기에 어느 순간부터는 무심히 날아가는 까마귀나 길가에 핀 꽃다지처럼 배경으로만 존재하게 되었다가 그마저도 점차 흐려졌다. 

수년이 지났다. 그러니까 17년을 함께 한 우리 고양이를 떠나보낸 아픔으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던 때, 문득 살아남은 자의 저주받을 허기가 구차한 변명을 늘어놓기 시작하자, 내가 그 노인을 못 본 지 꽤 되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게 언제였는지도 기억나지 않았다. 마을 풍경의 일부였던 존재의 부재에 대한 자각이 한없이 나를 불안하게 했다. 왠지, 그간 별 관심도 없던 그 노인이 무사하기를 격하게 빌었다.

다음 날 동네를 몇 바퀴 돌다가 텃밭에서 가쁜 숨을 몰아쉬며 일을 하고 있던 이웃 할머니를 만났다. ‘걸음병’ 노인의 근황을 물었다. 코로나바이러스와 싸우면서 폐에 손상을 입고 십 년은 더 늙어버린 그 할머니는 흐린 눈으로 나를 바라보았다. 그리고 내가 무엇을 궁금해하는지 끝내 납득하지 못하셨다. 전설 속 방황하는 유대인처럼, 예수가 재림할 때까지, 시공간이 직조한 미로 안을 맹렬하게 떠돌 것같던 흰머리 노인의 뒤를 캐는 짓은 왠지 더 이상 계속할 수 없었다.

그 후로도 또 다른 몇 년이 지난 지금 나는 흰머리 노인에게 닥친 일을 알고 있다. 오래도록 병을 앓던 노인의 동생이 다른 모든 필멸자들처럼 질기고 무기력하던 삶에 마침표를 찍었다. 남편을 간병하면서 시아주버니까지 돌보던 강인한 할머니는 비로소 자유를 선택했다. 멀리서 사는 자녀들과 상의 끝에 그들의 큰아버지를 중증장애인을 돌보는 요양원에 보낸 것이다. 흰머리 노인은 그렇게 더 작은 미로에 갇혔다. 그의 옷은 제수씨가 아니라 시설과 계약맺은 전문업체가 세탁할 것이다. 이것이 동네 사람들에게 유포되고 있는 결말이다.

나는 다른 결말도 알고 있다. 걸음병 노인은 동생이 세상을 떠나자 갑자기 제정신을 찾았다. 삶의 저주에서 해방된 동생을 부러워한다. 평생 자기를 돌보면서 자기보다 더 늙어버린 제수씨를 보고는 가슴이 미어진다. 그에게 언도된 형벌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고 누구도 저지할 수 없다. 끝을 헤아려 보지만 무한을 감각할 수 없음에 현기증을 느낀다. 그에게 내려진 저주는 부수적 피해를 낳았다. 저주가 동생 가족에게 넘쳐흘렀다. 노인은 온전해진 정신이 다시 자신을 배신하기 전에, 잘 웃는 걸음병 환자가 아니라 폭력적이고 격리가 필요한 위험한 광인을 연기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렇게 그는 다른 누군가에게 때늦은 자유를 선사할 더 좁고 무해한 미로를 선택한다. 그는 이제 매일 알록달록한 알약을 삼키고 콘크리트로 된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복도를 하염없이 걷다가 마주오는 사람을 만나면 예의 그 큼직한 미소를 지어 보일 것이다. 그곳에서 그는 꿈속에서도 정처 없이 걷는다. 이것이 나만 아는 두 번째 결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